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금액 및 납입횟수

by Well스토리2 2021. 2. 16.

안녕하세요. 오늘은 모두가 하는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에 대해서 한 번 글을 써보려고 해요. 주택청약종합저축을 하긴하는데 얼마나 얼만큼 넣어야 될까요. 누구는 기간이 중요하다, 누구는 금액이 중요하다. 주변에서 잘못된 정보를 주입하는 분들이 간혹 있으시죠. 확실히 정리해보도록 해요.

 

주택청약 종류

우리가 주택청약에 당첨되었다고 할 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국민주택, 다른 하나는 민영주택입니다. 두 주택의 차이는 아래와 같아요.

  • 국민주택: LH, SH 등의 기관에서 건설하는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 (LH: 한국토지주택공사, SH: 서울주택도시공사, GH: 경기주택도시공사)
  • 민영주택: '자이', '힐스테이트' 등의 민간건설사에서 건설하는 주택

우리가 주공아파트에서 주공이 바로 LH에서 건설한 주택을 말한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국민주택보다는 민영주택이 훨씬 조건이 좋고 지역, 부동산 가격 등을 고려했을 때 많이들 선호하시죠. 하지만 하늘의 별 따기보다 어렵죠. 그래도 조금의 가능성이라도 더 버는 것이 좋겠죠.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금액

주택청약종합저축의 납입가능금액은 최소 2만원~최대 50만원까지 가능해요 10원 단위로 2~50만원 사이라면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하답니다. 사실 50만원씩 넣으면서 목돈도 마련하고 좋지만 사람들이 왜 10만원씩 납입을 할까요? 바로 월납입금 인정 금액이 10만원으로 정해져 있어서 그런데요. 월 50만원이나 월 10만원이나 최종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월납입금은 10만원으로 동등하기 때문에 그런거죠. 또한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이율도 낮아서 많이 넣는다고 크게 이익은 없답니다. 주택청약만 바라본다면 월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거죠.

 

자, 그럼 월 10만원을 넣는다고 칩시다. 그럼 어떤 기준으로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청약신청 기준이 될까요?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민주택 / 민영주택 청약기준

주택청약의 경우, 지역에 따라 기준이 달라진답니다. 투기 또는 청약이 과열된 지역의 경우 기준이 높아 국민주택은 납입 2년 경과+납입 24회 이상, 민영주택은 납입 2년 경과+예치금 기준금액 보유 시 청약 순위가 높아진답니다. 만약 같은 1순위라면 저축금액이 많으면 가산점을 받게 돼요. 단, 아까 말씀드렸던 것처럼 월납입금 10만원까지만 인정이라 월 10만원이 가장 이상적이죠. 그럼 예치금은 어떻게 될까요. 민영주택 대상 지역/전용면적별 예치금액은 아래와 같아요.

민영주택 대상 지역/전용면적별 예치금액 기준

해당 예치금을 청약입주 모집공고 전날까지만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에 납입을 하면 예치금이 모자라더라도 문제가 없답니다. 서울 및 부산이 좀 세죠. 단, 한 가지 주의해야할 점은 위 예치금은 청약신청을 할 지역이 아닌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을 기준으로 해서 준비를 하셔야 한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여기서 잠깐, 주택청약종합저축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연말정산에서 1월의 보너스를 더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죠. 총 급여가 7천 만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는 최대 연 240만원까지 소득공제 최대 인정금액으로 연말정산이 측정이 된답니다. 최대 인정금액의 40%인 96만원까지 소득공제가 되구요. 그래서 소득공제 혜택까지 받기를 원하시는 분들은 월 20만원 납입이 베스트라고 볼 수 있어요. 소득공제 방법은 가입한 은행에 무주택확인서를 제출하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나이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언제 가입하는게 가장 좋을까요. 청약통장 보유기간에 따른 가점은 최장 15년이 만점이기 때문에 청약신청을 할 나이를 고려했을 때 빠르면 빠를수록 좋겠죠. 그렇다고 태어나자마자 자녀에게 주택청약종합저축을 들어주는건 무의미해요. 만 19세 미만의 미성년자에겐 최대 24회차(24개월)까지만 인정이 되서 그렇답니다.

 

그래서 만 17세에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을 하고 월 10만원을 납입하면 미성년자 최대인정기간 2년 납입+성인 13년 납입으로 가장 빠르게 최고 가점을 받을 수 있겠죠. 직장이 생기면 월 20만원으로 납입금을 올리면 연말정산 소득공제도 받을 수 있구요.

 

오늘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의 납입금액과 납입횟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에도 좋은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