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H 청년전세임대 지원내용 및 보증금과 이자 계산하는 방법

by Well스토리2 2022. 9. 27.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LH 청년전세임대 지원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LH를 통해 전세계약을 하면 실제로 보증금과 월임대료를 얼마나 내는지 저의 경험을 통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LH 청년전세임대 지원내용

  LH 청년전세임대 지원내용

1. 지원한도액

구분 지원가능
주택면적
수도권 광역시 기타
단독거주 1인거주 60㎡이하 1.2억원 9천 5백만원 8천 5백만원
공동거주(셰어형) 2인거주 70㎡이하 1.5억원 1.2억원 1.0억원
3인거주 80㎡이하 2.0억원 1.5억원 1.2억원

 1인 거주일 경우 지원가능 주택면적은 60㎡이하이며, 지원한도액은 수도권 1.2억원, 광역시 9천 5백만원, 기타지역 8천 5백만원입니다. 셰어형일 경우 지원가능 주택면적 및 지원한도액이 높아집니다. 셰어형은 LH 청년전세임대 심사에서 통과한 2인 이상이 신청 가능합니다. 즉, 한 명만 LH 청년전세임대 심사에서 통과하는것이 아닌, 2인 또는 3인 모두 심사에서 통과한 후에 셰어형에서 거주 가능합니다.

 

2. 임대조건

  1) 임대보증금:  1순위 100만원, 2ㆍ3순위 200만원

  2) 월 임대료

4천만원 이하 4천만원 초과~6천만원 이하 6천만원 초과
연 1.0% 연 1.5% 연 2.0%

  3) 우대금리 적용

  •  청년 1순위 0.5%p
  • 월평균소득 50%이하인 자 0.5%p (단, 다른 우대금리와 중복적용 불가)
  •  장애인 및 장애인가구의 자녀 0.5%p (단, 다른 우대금리와 중복적용 불가, 신청 및 계약 시 장애인등록증명서를 첨부하여야 우대금리 적용 가능
  • 1자녀 0.2%p, 2자녀 0.3%p, 3자녀 이상 0.5%p (단, 최저금리는 1.0%)

 임대보증금은 순위에 따라 다른데, 1순위는 100만원, 2ㆍ3순위는 200만원의 보증금을 내게 됩니다. 월 입대료는 전세금액에 따라 이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여러분들이 4천~6천만원 전셋집을 구했다면 연 1.5% 이율을,  6천만원을 초과하는 전셋집을 구했다면 연 2% 이율을 매달 내게 됩니다. 더불어, 우대금리 적용사항에 해당될 경우 추가로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으니, 해당사항이 있으신 분들은 신청하실 때 꼭 관련 서류를 제출해주세요.

 

3. 임대기간: 2년

  1) 최초 임대기간은 2년이며, 재계약 2년 단위로 2회까지 가능(최장 6년)

  2) 입주 후 혼인한 경우 전술한 2회 재계약 이후 2년 단위로 7회 추가 재계약가능

 

 

  보증금, 이자 계산하는 방법

 위의 지원내용을 바탕으로 전셋집을 계약했을 때 내가 실제로 내는 임대보증금과 월임대료(이자)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저는 청년전세임대 3순위로 광역시에서 1억원 전셋집을 구했는데요, 위의 표를 참고하면서 계산식을 봐주세요.

 

1. 임대보증금= [(해당순위 임대보증금)+(추가부담금)]

                      = [(200만원)+(500만원)]

                      = 700만원

2. 월 임대료   = [(전세보증금-임대보증금) × 연이율(%) ÷ 12개월]= 월 임대료

                       = [(1억 2천만원-200만원) × 2.0% ÷ 12]

                       = 15만 5천원

 먼저, 저는 3순위에 해당하므로 임대보증금 200만원을 내야 합니다. 더불어, 지원한도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제가 부담해야 하는데요, 광역시는 9천 500만원까지 지원하는데 저는 1억원 전셋집을 구했으니 추가부담금 500만원은 제가 부담하게 됩니다.  

 월 임대료는 내가 빌린 돈(전세보증금-임대보증금)에 연이율을 적용해 계산합니다. 지원받은 9천 5백만원 중 제가 임대보증금으로 200만원을 냈으니, 실제로 빌린 돈은 9천 300만원이겠죠? 따라서 빌린 돈 9천 300만원에 연이율 2%를 적용하고 12개월로 나눈 결과, 월 임대료는 15만 5천 원이 됩니다. 이렇게 저는 LH 청년전세임대 지원 정책을 통해 1억원짜리 전셋집을 보증금 700만원, 월 임대료 15만 5천원으로 구할 수 있었습니다.

 

  아래에  예시를 정리했습니다.

수도권 1순위 1억 5000만원
  1. 임대보증금= [(해당순위 임대보증금)+(추가부담금)]
                        = [(100만원)+(3000만원)]
                        = 3100만원
  2. 월 임대료   = [(전세보증금-임대보증금) × 연이율(%) ÷ 12개월]
                        =
[(1억 2천만원-100만원) × 1.5%(1순위 우대금리 0.5%p 적용) ÷ 12]
                         = 148,750원

 광역시 2순위 8000만원
  1. 임대보증금= [(해당순위 임대보증금)+(추가부담금)]
                        = [(200만원)+(0원)]
                        = 200만원
  2. 월 임대료   = [(전세보증금-임대보증금) × 연이율(%) ÷ 12개월]
                        = 
[(8천만원-200만원) × 2.0% ÷ 12]
                         = 130,000원

 기타 3순위 5000만원
  1. 임대보증금= [(해당순위 임대보증금)+(추가부담금)]
                        = [(200만원)+(0원)]
                        = 200만원
  2. 월 임대료   = [(전세보증금-임대보증금) × 연이율(%) ÷ 12개월]
                        = 
[(5천만원-200만원) × 1.5% ÷ 12]
                         = 60,000원

 

 LH 청년전세임대는 월세와 전세가 비싼 요즈음 정말로 큰 도움이 되는 정책 같습니다. 여러분들도 이러한 혜택을 놓치지 말고 꼭 챙기세요.

반응형

댓글